본문 바로가기
정보

재무팀 업무 (5) - 재무상태표상 가용자금

by 오끼 2022. 11. 13.
728x90
반응형

가용자금이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을 말합니다. 즉, 지금 당장 마련할 수 있는 현금을 우리는 가용자금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재무상태표상 가용자금이란 조정된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재무상태표상 순 운전 자금을 산출하고 운영자금 항목을 다시 공제하고도 가용할 수 있는 자금이 과연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여유자금

기업이 기존 사업부문에서 신규사업부문으로 전용 가능한 여유자금이 얼마나 될까요? 이러한 성격의 여유자금을 어디에서 어떻게 산출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대답은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이용한 재무구조 분석을 통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재무상태표는 결산 시점에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 주는 재무제표이므로 이것을 분석의 기초로 하면서 기업의 회계처리 관행과 경제적 실질 측면을 고려해서 산출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1회계 기간)으로 보면 기업의 재무상태표가 유동 계정과 비유 동계 정의 기본개념에 맞게 정확히 작성되었다면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순 운전자본(운전자본은 기업의 일상적인 사업활동에서 운용되는 자금을 말합니다. 운전자본은 유동부채로 조달되며, 유동자산으로 운용됩니다.)에서 기존 사업에 투입된 운영자금을 차감한 금액이 신규사업에 전용 가능한 결산시점에서의 여유자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의 회계처리 관행이나 경제적 실질 측면에서 보면 유동 계정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즉, 회계처리상으로는 유동 항목으로 계상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비유동 항목이나 다름없는 항목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유동자산으로 은행 예금이 계상되어 있으나 계정 분석을 해보면 그중에서 당좌거래에 대한 담보성 예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며, 관계회사 대여금이 계상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만기에 회전사용을 함으로써 장기차입금처럼 차기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는 것이 금융관행입니다. 따라서 유동자산이나 유동부채 중에서 이러한 준고정성 부분을 조정한 순 유동자산이나 순 유동부채를 비교해서 여유자금을 산출해야 합니다. 

재무상태표상 가용자금 산출 공식


재무상태표상 순 운전자금 = 순 유동자산(유동자산-준고정자산) - 순 유동부채(유동부채-준고정부채)


결국 재무상태표상 가용자금은 재무상태표상 순 운전자금을 산출하고 운영자금 항목을 재 공제하고도 다시 가용할 수 있는 자금이 있는가에 대한 검토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가용자금만으로는 투자할 여력이 있는 기업은 별로 없을 것이므로 영업 활동에서 창출 가능한 자금과 외부자금 조달 능력을 추가로 검토하여 기업의 자금조달 능력과 재무적 융통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728x90

댓글